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으로 유명한 '메타'가 트위터의 대항마로 단문유형 SNS인 스레드를 7월 6일부터 출시하였습니다. 이 앱은 500자 텍스를 포함해 사진 10개, 동영상 5분 길이의 동영상을 올릴 수 있는 웹3.0 SNS 입니다.
1. 스레드, 혁신적인 SNS 시장 도약의 주인공
스레드는 SNS 산업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출시 후 일주일도 안돼 10억 명의 가입자를 모은 이 SNS는 독창적인 플랫폼과 개방형 텍스트 기반의 경쟁력으로 인해 글로벌 빅테크 업계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더욱이 이는 유럽연합(EU)에서는 서비스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달성한 점이라는 것도 주목할만합니다. 한국에서도 100만 가입자 이상을 모았습니다. 삼성전자, 현대차 등 국내 대기업도 발빠르게 스레드 채널을 개설하였습니다. 스레드가 트위터의 라이벌이 될까하는 의구심이 있었지만 스레드는 트위터와의 경쟁을 넘어선 탈중앙화된 웹3.0 SNS의 비전을 제시하며, 새로운 시장에서 선두 주자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트위터가 아닌 다른 SNS와 비교하여도 매우 빠른 속도입니다. 스레드의 성공은 기존 SNS와는 차별화된 입지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최근 등장한 스레드는 인스타그램 계정이 있으면 간편하게 가입할 수 있으며, 새로운 유형의 SNS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트위터와의 경쟁에서도 스레드는 대안 SNS의 역할을 빠르게 확립하고 있으며, 트위터에서 정리해고를 당한 인력들이 스레드로 입사하여 스레드의 성장을 도왔습니다.
2. 플랫폼 경쟁과의 관계
트위터는 스레드의 등장으로 인해 기존의 지위를 잃어버릴 수도 있습니다. 법적 분쟁 및 지식재산권 침해와 같은 문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트위터에 비해 스레드는 신속하게 대안 SNS로 자리를 굳히고 있습니다. 트위터의 경우 스레드가 출시되고 트래픽이 떨어지고 있어, 스레드가 트위터의 대항마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다고 보여지고 있습니다. 스레드의 경쟁력은 트위터 등 여타 다른 SNS에서는 볼 수 없는 신선함입니다. 스레드는 이러한 폭발적인 반응을 받은 상황에서 스레드의 앞으로의 행보가 중요합니다. 유럽연합에서 시행되는 디지털 특별법 또한 주요 변수 중 하나입니다. 주커버그와 머스크의 SNS 설전처럼 스레드와 트위터도 경쟁을 할 것이 분명합니다. 메타는 이전에 데이터보안 관련하여 문제가 된 적이 있습니다. 페이스북과 인스타를 보유한 메타는 SNS 를 통해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무분별하게 수집하고 이를 활용하여 이익을 얻어 비난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전력을 가진 메타가 탈중앙화를 표방하는 SNS를 냈다는 것 또한 주목할만 합니다. 이러한 개인정보의 무분별한 수집 및 활용을 비난해 온 애플의 앞으로의 행보도 주목됩니다. 애플은 메타와 다르게 메타버스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두 회사 모두 글로벌 초거대 기업으로 어느 쪽이 미래를 정확하게 판단하고 있는지 앞으로의 두 회사의 움직임을 보면 재미있을 거 같습니다.
3. 탈중앙화 플랫폼 전략과 웹3.0 SNS로의 진화
스레드는 웹3.0 SNS, 개방형 소셜 네트워크를 표방하고 있습니다. 웹 3.0은 www 를 개발한 팀 버너스리가 제안한 개념으로 사용자의 데이터를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분산되어 저장이 되는 기술입니다. 웹3.0의 경우 블록체인 시스템이 가지는 장점과 단점을 그대로 보유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웹3.0은 메타버스에서 구현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았는데, 결국 메타버스에 진심이라 사명마저도 '메타'가 웹3.0 기반 SNS 스레드를 출시한 것입니다. 스레드는 인스타그램의 단순한 느낌처럼 단문유형의 SNS인데, 이미 그 시장은 트위터가 선점하고 있었습니다. 액티비퍼(ActivityPub)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탈중앙화된 소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다른 액티비퍼을 지원하는 앱과의 상호운용성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웹3.0 탈중앙화의 성공여부가 스레드의 앞으로의 방향을 정할 것으로 보입니다.
'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산업> 인공지능의 세계: 빙과 챗 GPT를 통한 새로운 AI 시대의 개막 (0) | 2023.07.17 |
---|---|
<IT 산업> WEB 3.0 미래의 인터넷(개념, 특징, 스레드) (1) | 2023.07.16 |
<IT 산업> 사이버 보안 (네트워크, 엔드포인트, 데이터, 인증 및 접근) (0) | 2023.07.14 |
<IT 산업>가상과 현실의 경계를 허무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이란?(포켓몬고, 개념, 작동원리, 전망) (1) | 2023.07.10 |
<IT 산업> 물리적 공간제약을 벗어나는 사물인터넷(IoT) 기술(개념, 구성요소) (0) | 2023.07.09 |